한글 맥OS 부트캠프 윈도우7 키보드 리매핑 2013. 2. 26. 부트캠프 윈도우7 키보드 리매핑 맥에어 13인치에 부트캠프 설치후 윈도우7을 설치해보았다. 사용중 나에게 가장불편했던것은 키보드 배열이었다. 그래서 키보드 매핑 프로그램을 찾아봤는데.. 여러가지중 KeyMapper라는 프로그램만 적절하게 리매핑해주었다. 다른건 사용이 안되거나 애플키를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내가 적용한 리매핑은 왼쪽 command -> 왼쪽 control 오른쪽 command -> 오른쪽 control/한자변환 오른쪽 option -> 오른쪽 alt / 한글변환 위와 같이 3개만 적용해 두었다. 여기서 나에게 가장 급했던 문제는 왼쪽 control 키의 위치가 나에게는 너무나 불편하였다. 그래서 command 키를 control로 바꿔버렸다. 기존 다른 자판 배열과도 이상한 배.. fedora 에서 scim에서 한글이 안될때... 2007. 10. 29. 페도라를 깔았다.. 우분투를 썼었는데 웬지 자꾸 다운이 된다.. 암튼 페도라7 KDE버전으로 깔고 사용시작.. 한글입력이 안된다.. yum install -y scim-hangul을 해줬더니 최신버전으로 설치되면서 한글도 잘되고 한영키도 자동으로 잡아주었다. 역시 리눅스는 뭔가 직접만져주어야 좋아하나보다;; -_-; mysql 4.1 콘솔 한글 입력문제 2007. 10. 13. 1. (shell에서는 한글이 입력은 되지만) MySQL Client에서 한글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 mysql client가 한글설정과 충돌을 일으킬 경우에 mysql client(콘솔)에서 한글이 되지 않습니다. 이럴땐 LANG설정을 다시 en_US로 돌려놓고 실행하면 한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export LANG=en_US 우분투, SSH에서 한글 깨짐 문제 해결하기 2007. 7. 21. 우분투 EUC-KR 설치 #sudo apt-get install language-pack-ko #sudo locale-gen ko_KR.EUC-KR GNOME 한글세팅은 여기서 1. /etc/environment 설정값 바꾸기 $ sudo vim /etc/environment 2. 환경 바꾸기 LANG="ko_KR.UTF-8" LANGUAGE="ko_KR:ko:en_GB:en" 위에와 같이 선택이 되어있다. EUC-KR를 추가해주자. LANG="ko_KR.UTF-8" LANG="ko_KR.EUC-KR" LANGUAGE="ko_KR:ko:en_GB:en" 3. 재부팅한다. 출처:http://blog.naver.com/hinain?Redirect=Log&logNo=150018548851 우분투 설치하고 한글 안될때 2007. 7. 20. 집컴에서는 한번에 설치하면 한글도 되고 잘 되는데 회사컴은 우분투를 설치하고 한글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 그럼 밑의 명령어를 치고~~ $ sudo apt-get install uim scim-gtk2-immodule scim-uim scim-hangul scim-tables-ko scim-qtimm skim im-switch 여기까지하면 일단 주왁뜬다.. 그런후 메뉴에서 시스템->기본설정->scim-input-method-setup으로 간후 IMEngine 에서 모든 입력을 체크해제한후 korean부분만 찾아서 체크한후 재부팅~ 끝 이전 1 다음